학술활동         학술대회

2024-2 가을 정기 학술대회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2


한국외대 외국문학연구소(소장 독일어과 서유정 교수)는 지난 1129() 오후 1시부터 미네르바 콤플렉스 국제회의실에서 세미오시스 연구센터(단장 서종석 교수)와 세계문화예술경영연구소(소장 스칸디나비아어과 홍재웅 교수)와 공동주최로 <한강의 시선 세계의 시선: 세계 언론 및 문학계에 비친 한강의 문학>이라는 제목하에 2024년 가을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대회는 1210일 대한민국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게 될 한강 작가의 쾌거를 축하하면서 교내에 소속된 세계 여러 언어권의 연구자들을 모시고 세계 언론 및 문학계의 한강의 노벨상 수상에 대한 반응 및 한강 문학 수용에 대해 조망하는 시간을 갖고자 전격 기획되었다.

82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는 여러 언론사와 문학 출판사 관계자들도 참가하였으며, 특히 그간 한강 문학을 위시하여 한국 문학을 전 세계 언어로 번역 소개하는 데에 주력해온 한국문학번역원의 전수용 원장도 끝까지 함께하여 자리를 더욱 빛내 주었다.



서유정 소장은 개회사에서 교내 총 19개 언어권이 참여하는 이번의 학술대회는 한국외대만이 기획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이라는 점에 자부심을 느끼고, 이를 통해 한강을 넘어 한국 문학이 세계문학으로 더욱 뻗어나가는 데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게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진 축사에서 전수용 원장은 한국외대에서 개최되는 본 행사를 축하하면서 앞으로의 행보에도 기대감을 표명했다. 이어서 2018년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폴란드의 작가 올가 토카르추크가 보내준 축하영상을 함께 감상하였다.



(한국문학번역원 전수용 원장)

 


(2018년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폴란드의 작가 올가 토카르추크 축하영상) 


3부의 심포지엄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서 제1부는 유럽과 영미권에서의 한강 문학의 수용을 조망하기 위해

<한강과 노벨문학상: 스웨덴의 시선에서 본 한국 문학의 새로운 목소리>(홍재웅 교수: 스웨덴), <맨부커상 이후, 한국문학 변방에서 세계문학으로>(오은영 교수: 영국), <텍스트와 파라텍스트: 노벨상 수상 기사 독자 코멘트 분석>(김수연 교수: 미국), <문학 언어의 증명: 독일 언론과 문학계의 한강 문학 인식>(서유정 교수: 독일), <트랜스내셔날: 네덜란드가 본 한강>(문지희 교수: 네덜란드), <러시아의 한강 문학 수용>(박인나 교수: 러시아), <프랑스 언론에 비친 한강 작가의 초상>(남윤지 교수: 프랑스)으로 구성되었다.




2부는 남유럽과 동유럽권의 수용을 조망하기 위해 <한강 문학과 포르투갈어권 국가에서의 한국 문학 수용>(임소라 교수: 포르투갈-브라질), <이탈리아: ‘한강의 범람>(박문정 교수: 이탈리아), <스페인어권 국가들의 한강 문학 수용 양상>(고슬기 교수: 스페인), <발트3국의 한강 문학 수용>(서진석 교수: 발트3), <‘한강의 시선으로 새롭게 보게 된 바르샤바’ - 폴란드 언론에 비친 한강의 문학>(최성은 교수: 폴란드), <한강의 문학, 체코의 시선>(유선비 교수: 체코), <한강 작가의 문학과 번역에 대한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국내의 시선>(김상헌 교수: 세르비아-크로아티아)으로 구성되었다.



중동권과 아시아권의 수용을 다룬 3부에서는 <한강 문학, 지역성을 넘어 보편성으로>(이난아 교수: 튀르키예), <한강의 소설: 여성, 가족, 인간애로 아랍 무슬림 사회의 일부가 되다>(김정아 교수: 이집트), <인도의 한강 문학 수용>(이동원 교수: 인도), <중국에서의 한강 작품 수용 분석>(박정원 교수: 중국), <일본 언론에 비친 한강의 작품세계와 일본 출판계의 한국 문학 번역>(금영진 교수: 일본)을 주제로 한 발표가 이어졌다.




끝으로 한국문학번역원장의 대회 소감에 이어 이번 학술대회 내용이 기초 자료가 되어 앞으로 한강 문학 및 한국 문학이 다양한 세계 언어권의 문학 연구에도 소개되도록 다층적인 연구들이 파생되길 바란다는 서유정 소장의 폐회사와 함께 학술대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대회 프로시딩은 외국문학연구소 홈피(http://ifl.hufs.ac.kr/board/notice/article/250592)에서 열람 가능하다.


 첨부파일
poster._A3.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