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 제출 및 심사방법
(1) 투고자격
- ① 문학 관련 전공(국문학 포함) 전임 교원이나 박사 과정 이상
- ② 공동연구인 경우 주저자는 전임 교원이나 박사 과정 이상, 공동저자는 석사 과정 이상
(2) 투고신청서 제출
투고 시에는 투고신청서를 연구소 이메일(ifl@hufs.ac.kr)
로 제출한다. 투고신청서에는 투고자의 소속(대학 및 학과 혹은 연구소
등), 직위(교수, 연구원, 강사, 박사 후 연구원, 박사 학위자, 박사 과정 수
료생, 박사 과정생, 석사 학위자, 석사 과정 수료생, 석사 과정생), 학술지
수령주소, 전화번호 및 e-mail 주소를 명기한다
(3) 원고 제출
투고 시에는 한글(2002 이상)로 작성된 원고파일을 제출한다.
(4) 외국어 논문은 영어로 작성된 것에 한한다.
(5) 연속 2회 게재는 할 수 없다.
(6) 마감일자
마감일자 : 매년 1월 5일, 4월 5일, 7월 5일, 10월 5일
발행일자:매년 2월 28일, 5월 31일, 8월 31일, 11월 30일
(7) 제출처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
(JAMS, https://ifl.jams.or.kr/co/main/jmMain.kci)
(8) 출판되지 않은 학위논문의 경우 수정, 보완하여 투고할 수 있다. 단, 이 사실을 논문에 반드시 밝힌다.
2. 논문작성 양식
* 투고신청서, 논문작성스타일 샘플 등을 외국문학연구소 홈페이지(http://ifl.hufs.ac.kr/)에서 다운 받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 원고작성
한글 2002 이상으로 작성하여, 원고의 길이는 200자 원고지 130매(지정된 용지규격 약23쪽)내외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모양-편집 용지](먼저 F7 key를 누른다.)
-
용지종류 |
용지여백 |
용지방향 |
사용자 정의 폭 : 155mm 길이 : 230mm |
위쪽 |
16mm |
좁게 |
아래쪽 |
17mm |
왼쪽 |
30mm |
오른쪽 |
18mm |
머리말 |
10mm |
꼬리말 |
10mm |
제본 |
0mm |
* 프린트시 인쇄방식을 ‘모아찍기’로 설정
(3) [모양-글자 모양(Alt key+L), 문단 모양(Alt key+T)]
* 여기에서 제시하지 않은 사항은 모두 기본값으로 둔다.
- 1) 본문
- ① 글자모양:글꼴 (대표) 한컴바탕, 크기 9pt, 장평100%, 자간 -7
- ② 문단모양:줄 간격 고정값 16pt, 최소공백 80%, (첫째 줄) 들여쓰기 10pt, 왼쪽․오른쪽 여백 0pt
- 2) 인용문
- ① 글자모양:글꼴 (대표) 한컴바탕, 크기 8.7pt, 장평 100%, 자간 -7
- ② 문단모양:줄 간격 고정값 14pt, 최소공백 100%, (첫째 줄) 들여쓰기 10pt, 왼쪽 여백 15pt, 오른쪽 여백 0pt
- 3) 각주(필요시)
- ① 글자모양:글꼴 (대표) 한컴바탕, 크기 8pt, 장평 100%, 자간 -5
- ② 문단모양:줄 간격 고정값 12pt, 최소공백 80%, 왼쪽 여백 0pt, 오른쪽 여백 0pt, 내어쓰기 10pt
- 4) 참고 문헌
- ① 글자모양:글꼴 (대표) 한컴바탕, 크기 9pt, 장평 100%, 자간 -7
- ② 문단모양:줄 간격 고정값 16pt, 최소공백 80%, 왼쪽 여백 0pt,오른쪽 여백 0pt, 내어쓰기 30pt
- 5) 논문 초록
- ① 글자모양:글꼴 (대표) 한컴돋움, 크기 9pt, 장평 100%, 자간 -8
- ② 문단모양:줄 간격 고정값 16pt, 최소공백 80%, (첫째 줄) 들여쓰기 0pt
- 6) 제목
- ① 논문 제목:글꼴 한컴바탕, 진하게, 15pt, 장평 100%, 자간 -8, 왼쪽 정렬
- ② 대제목:글꼴 한컴돋움, 진하게, 12pt, 장평 100%, 자간 -10, 왼쪽 정렬
- ③ 중제목:글꼴 한컴돋움, 10pt, 장평 95%, 자간 -10, 왼쪽 정렬
- ④ 소제목:글꼴 중고딕, 10pt, 장평 95%, 자간 -10, 왼쪽 정렬,들여쓰기 10pt
(4) 번호 및 부호
- 1) 번호
- ① 대항목 번호:I. II. III. ...
- ② 중항목 번호:I.1. I.2. II.1. ...
- ③ 소항목 번호:I.1.1. I.1.2. ...
- 2) 부호
- ① 본문중 인용 부분:“...”
- ② 인용 속의 인용:‘...’
- ③ 인용시 필자의 중략:[…]
(5) 한글과 원어의 병기
- 1) 원어는 괄호로 묶는다. 한번 쓴 원어를 반복해서 쓸 필요는 없다.
- 예) 진실(verum), 하이네(Heine)
도모 나루터(鞆の津), 산의 저편(在山的那邊)
- 2) 한자 동음도 괄호 안에 넣어 표기한다.
- 예) 신생대시가(新生代詩歌), 다문화 공존의 기술(技術)
- 3) 서양어권 시 제목은 원어를 이탤릭체로 쓰지 않고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 예) 「섬광(L’Eclair)」, 「가지 않은 길(The Road not Taken)」
(6) 인용문 및 예문
위, 아래로 본문과 한 줄을 띈다.
(7) 논문 초록
- 1) 모든 원고에는 국문 초록을 1쪽 이내(15줄-20줄 사이)로 작성하여 첨부한다.
- 2) 모든 원고에는 영문초록을 150단어 내외(12줄 내외)로 작성하여 첨부한다.
- 3) 영어 이외의 다른 외국어로 작성하는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
- 4) 국문 원고인 경우 국문 초록은 맨 앞에, 영문 초록은 참고문헌 뒤에 놓고, 영문 원고인 경우 영문 초록을 맨 앞에, 국문 초록을 참고문헌 뒤에 놓는다.
(8) 주제어
주제어는 국문초록, 영문초록 다음에 5개 이내의 단어로 작성한다.
(9) 본문주 및 참고문헌
- 1) 본문주
- ① [참고문헌]에 작가, 책이름, 출판사, 출판지, 년도, 역자, 편자 등이 자세히 나오기 때문에 레퍼런스 형식으로 간단히 언급한다.
- ② 논문의 [참고문헌]에 동일한 저자이름으로 된 책이 한 권만 있는 경우.
- (예 1) 김종덕은, “....” (김종덕, 59)
이것은 김종덕, 「『겐지모노가타리』에 나타난 동물의 상징과 인간관계」, 『외국문학연구』, 제61호, 2016이라는 학술지의 59쪽에서 인용했다는 의미이다.
- ③ 논문의 [참고문헌]에 동일한 저자의 책이나 논문이 둘 이상인 경우 년도를 표기한다.
- (예 1) (Herity, 2000:68-69)
이것은 Herity, Emer. Subject Without Nation, Durham: Duke UP, 2000. 이라는 서적의 68페이지에서 69페이지의 내용을 인용한 것이다.
(박지영, 2007:24)
이것은 박지영, 『중간은 없다』, 서울: 기파랑, 2007. 이라는 서적의 24페이지의 내용을 인용한 것이다.
- (예 2) (Herity, 1991:111)
이것은 Herity, Emer. "Robert Musil and Nietzsche", The Modern
Language Review, 86, 1991. 이라는 논문의 111페이지에서 인용한 것이다. (박지 영, 2014:198)
이것은 박지영, 「전복과 변형」, 『영어영문학』, 41.3, 2014. 이라는 논문의 198페이지에서 인용한 것이다.
- ④ Ibid나 op. cit. 등의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 ⑤ 부연설명이나 추가정보가 필요한 경우는 각주를 사용하되, 서지정보 전체를 제시하지 않고, 서지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위에 제시한 본문주 형식에 따른다.
- 2) 참고문헌
- ① 참고문헌은 한글, 외국어 순서로 배열한다. 국내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외국문헌은 알파벳순(또는 각 언어의 문자순)으로 배열한다.
- ② 서적 및 저널의 경우: 동양권 언어는『 』, 서양권 언어는 이탤릭체를 사용한다.
논문 및 시 제목: 한글과 동양권 언어는 「 」, 서양권 언어는 “ ”를 사용한다.
- ③ 서양어권 언어의 저자 표기 시(성+이름), 성 뒤에는 쉼표(,)를, 이름 뒤에는 마침표(.)를 사용한다.
- ④ 서적의 경우, 다음의 순서대로 표기하되(저자, 책이름, 역·편자, 출판지(필요시), 출판사, 년도, 쪽수(필요시)), 각 정보와 정보 사이에는 쉼표(,)를 사용하고, 출판지와 출판사 사이에만 콜론(:)을 사용한다. 마지막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토머스 모어, 『유토피아』, 주경철 옮김, 을유문화사, 2010, 55-57.
Herity, Emer. Subject Without Nation, Durham: Duke UP, 2000.
- ⑤ 논문의 경우도, 다음의 순서대로 표기하되(저자, 논문명, 학술지명, 권호, 년도, 쪽수(필요시)), 각 정보와 정보 사이에 쉼표(,)를 사용하고 마지막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Herity, Emer. "Robert Musil and Nietzsche", The Modern Language Review, 86.7, 1991.
- ⑥ 참고문헌 표기 시, 줄이 바뀔 때는 5칸 띄운다.
- ⑦ 동일 저자 표시는 _________, (10칸 줄 긋고, 쉼표) 사용한다.
- ⑧ 번역서의 경우는 저자의 이름을 그대로 (이름 + 성) 기술하고, 참고문헌에서의 배치는 한글로 표시된 저자의 성(姓)의 순서에 따른다.
- 예) 토머스 모어, 『유토피아』, 주경철 옮김, 을유문화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