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I 본관 109호
제1부 - 사회: 서유정(한국외대)
2:20~2:40 근대 독일 사회의 책 읽기 문화 확산: “독서혁명” 혹은 “독서광기” 서정일(목원대)
2:40~3:00 아니 에르노의 오토픽션을 영화로 만들기 위한 몇 가지 전략들:영화 <단순한 열정>(2021)과 원작 소설 비교 오보배(강원대)
3:00~3:20 스토리텔링과 문학의 확장성 신현호(한국외대)
3:20~3:50 종합토론 서송석(서울여대)손수희(한국
제2부 - 사회: 박지영(인하대)
4:00~4:20 한국과 일본의 멜로드라마에서 나타나는 공동체주의와 개인주의 비교연구:<오징어 게임>과 <귀멸의 칼날>을 중심으로 박인성(부산가톨릭대)
4:20~4:40 동아시아 BL(Boy’s Love)작품 속에 나타난 한류의 동향: 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김은정(한국외대)
4:40~5:00 문학 리소스 시각화와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박정원(한국외대)
5:00~5:30 종합토론 양정현(세종대) 이가현(고려
SESSION II 본관 211호
제1부 - 사회: 지유리(한국외대)
2:40~2:55 문학의 ‘자동적’ 경험:She (1866) 와 Heart of Darkness (1899)의 양적비교연구 강가현(연세대 석사과정)
2:55~3:10 Everything Is a Text, There Is Nothing Outside Context 조찬영(연세대 석사과정)
3:10~3:25 <작은 아씨들>을 바라보는 현대의 시선:영화 <작은 아씨들>(2019)과 드라마 <작은 아씨들>(2022) 권나윤(연세대 석사과정)
3:25~3:45 종합토론 강가현, 조찬영, 권나윤
동영상 발표
3:50~4:05 셰익스피어가 줌을 만났을 때:실시간 온라인 스트리밍 공연과 낭독 박정만(한국외대)